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1) 협의 개념
- 요보호 대상자를 주요 고객으로 하는 사회복지시설의 행정이라는 의미로 사용
- 개별 사회사업(개인 대상 실천), 집단 사회사업(집단 대상 실천), 지역사회 조직 사업(지역사회 대상 실천)
- 사회복지조직의 서비스 대상인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면서 전문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하고 개입하거나 사회복지조직 자체의 과제 수행에 역점
2) 광의 개념
- 공·사의 모든 사회복지행정을 포함하여 사회복지조직의 활동 과정에 기여하는 조직 구성원들의 협동적이고 조직적인 활동
- 일반적인 사회정책을 사회복지서비스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총체적인 활동 의미
-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서비스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사회복지조직의 총체적 활동
2.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의 차이점
1) 사회복지행정은 일반행정과 관리에 관한 지식을 초월하는 범위를 가짐
2) 사회복지행정은 전문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크게 의존함
3) 사회복지행정은 지역사회 내 클라이언트의 욕구 충족을 위한 독특한 성격의 서비스를 산출함
4) 사회복지행정가는 사회복지조직의 운영에 있어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을 갖고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련을 가져야 함
5) 사회복지행정은 행정가 또는 관리자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들이 행정에 참여하며 이 과정이 조직의 목표달성에 크게 영향을 미침
3. 사회복지 조직의 특성(하센펠트)
1) 사람을 원료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도덕적 정당성이 요구되고, 윤리적 딜레마에 의한 도덕적 모호성이 존재함
2) 핵심적 활동은 기관 직원과 클라이언트의 상호작용이며, 일선 성원의 활동이 중요함
3) 사용하는 기술이 다양하며 불확실성이 높음
4) 목표가 모호하고 애매하며 효과성·효율성 척도가 거의 없기 때문에 결과 평가에 논란이 많음
5) 변화와 혁신에 대한 저항이 다른 조직보다 큼
6) 주로 전문가와 사회적 환경에 의존함
7) 공공의 이익을 위해 사회적·물질적·비물질적 후원을 받음
4.사회복지행정의 주요 가치
1) 효과성: 목표의 달성 정도를 판단하는 가치
2) 효율성: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산출한다는 개념
3) 공평성/형평성: 동일한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는 것
4) 접근성/편의성: 클라이언트가 사회적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구분 | 장점 | 단점 |
보편주의 | 공평성, 편익성 | 효과성, 효율성 |
선별주의 | 효과성, 효율성 | 공평성, 편익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