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의 개관_1
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의 개관_1

반응형

1.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 인간의 사회적 욕구와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조직화한 활동
-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목적을 둔 종합적인 활동

2. 사회복지실천의 이념과 철학적 배경
- 상부상조의 정신: 사회복지 발생 이전 빈곤 문제에 대처한 가장 원초적인 제도
- 종교적 윤리: 서구 기독교를 바탕으로 하여 빈곤자나 무능력자를 도움
- 인도주의(박애 사상): 자선조직협회 우애방문원 활동의 기본적 이념, 모든 사람을 차별 없이 두루 사랑한다는 의미, 인간 존중, 평등사상에 근거하여 인종, 종교, 습관, 국적 등을 초월
- 사회진화론: 적자생존의 법칙을 사회법칙에 적용, 사회진화론은 사회 통제적 측면이 강함
- 민주주의: 인보관운동의 이념,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권, 사회개혁으로 이어짐
- 다양화: 클라이언트의 욕구가 다양해짐
- 개인주의: 개인 권리 존중과 함께 수혜 자격 축소, 열등처우의원칙 적용

3.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 과정
1)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이전기(태동기~19세기 말)
- 자선조직협회(COS): 사회진화론에 이념적 배경을 두고 중산층 부인 중심의 자원봉사자인 우애방문원들이 활동하였으며, 기독교 도덕성을 강조하고 빈곤자의 나태함을 비난함. 빈곤을 개인의 문제로 보았고 가정방문을 하여 개인의 도덕성을 감화하고 개별사회사업의 효시가 됨
- 인보관운동: 사회교육과 사회개혁에 이념적 배경을 두고 젊은 대학생이나 교수 등 지식인들이 참여하였으며, 도덕성의 다양한 관점을 인정하고 빈곤 지역에 함께 거주하면서 3R 운동을 펼침,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복지의 효시가 됨
2)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분화기(1920~1950년대)
- 진단주의: 1920년대 프로이트에 의해 발전하였으며 과거를 중시하고 치료사로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강조됨. 질병의 심리학으로 치료 중심이며 무의식, 저항, 양가감정, 전이 등을 주요한 개념으로 삼고 자아를 강화하는 것이 목적임
- 기능주의: 기능주의는 1930년대 오토랭크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인간은 성장 가능성이 있고 창조적이며 자신의 문제해결과 성장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존재로서 접근함. 분리 의지, 기관의 기능 활용 등이 중요한 개념이며 현재 중심, 클라이언트 중심, 성장의 심리학으로 불리며 클라이언트의 자아 창조적 통합력 형성이 목적임
∞플랙스너(1915년)의 비판에 대한 사회복지계의 반응
- 개별사회사업 방법론 확립(1920년대)
- 리치몬드의 사회진단 저서 출간(1917년)
- 전문사회복지학교 설립(1919년까지 17개 전문사회복지학교 설립, 2년 정규교육과정)
- 미국사회복지사협회 창립(1921년)
3) 전문적 사회복지실천의 부분 통합기(1950~1960년대)
- 빈곤뿐 아니라 비행, 장애, 정신건강 등 다양한 영역을 다룸
-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각각의 실천 방법론의 공통요소를 찾아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남, 이 세 가지 방법을 절충적으로 사용하면서 사회행동, 조사, 관리 행동 계획, 정책론을 포함한 거시적 방향으로의 발전이 요구됨
- 펄만: 진단주의 입장에서 기능주의 통합
- 휘태커: 기능주의 입장에서 진단주의 통합
4) 전문적 사회복지실천의 확대 통합기(1960~1980년대)

반응형

'이것저것, >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기술론_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1) 2023.01.16
사회복지실천의 개관_2  (0) 2023.01.16
실험설계의 유형  (0) 2023.01.13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0) 2023.01.13
환경체계  (0) 2023.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