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주기별 발달 특성_에릭슨
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사회복지

생애주기별 발달 특성_에릭슨

반응형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8단계는 사회적 경험과 다양한 인간관계 등이 자아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했으며, 단계를 나이로 구분했지만 시기가 고정되어있는 것은 아니며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고 할지라도 이전 단계의 문제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퇴행할 수 있다고 했다.

▨1단계: 신뢰와 불신(유아기, 구강기)
- 출생~18개월
- 일관되게 원하는 것을 얻은 욕구를 충족하며 안전함을 느끼게 되면 신뢰는 하게 된다.
- 양육자가 정서적으로 따뜻하고 일관되게 아이를 대하고 양질의 양육을 제공하면 아이는 양육자를 신뢰하게 된다. 기본욕구가 충족되지 않고 부정적인 경험을 많이 하게 된다면 불신이 생기면서 이후의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2단계: 자율성과 수치, 의심(아동기 초기, 항문기)
- 18개월~3세
- 걸음마를 시작하고 세상을 탐색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가지게 되고 자율성이 생긴다. 이 시기에 지나친 통제나 훈육은 수치심과 의구심을 갖게 한다.
- 부모의 통제는 적당한 선을 지켜야 아이는 자신감과 자기통제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 이 시기에 배변 훈련은 자녀의 미숙함을 이해하고 적절한 수준의 제한을 두어 건강한 자율성을 획득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 단계에서 좌절이 계속될 경우에는 성격이나 심리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완고하거나 강박적인 성격이 형성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3단계: 주도성과 죄책감(아동기 후기, 남근기)
- 3세~5세
- 운동기능과 지적기능이 발전하는 시기이다. 신체적으로도 자유로우면서도 지적 호기심이 많기 때문에 욕구가 충족되면 주도성을 갖게 된다. 또래와의 경쟁에서도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반대로 잘못됨을 느끼게 되면 죄책감을 느끼며 자신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4단계: 근면성과 열등감(잠복기)
- 6세~11세
- 이 시기에 아이들은 체계적인 학습을 하게 되면서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히게 된다. 이 과정을 잘 완수하게 되면 자부심을 느끼고 성취감과 근면성이 발달한다.
- 과잉보호를 받거나 적절한 칭찬, 보상받지 못하게 되면 열등감을 얻게 될 수 있다.
- 이 시기에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아이가 또래 집단에서 적절한 지위를 얻고 스스로 업적을 달성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5단계: 정체성과 역할혼동
- 11세~20세
- 자아정체성을 수립하는 시기로 그동안 거쳐왔던 단계들이 어떠했는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건강한 정체성이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혼란을 겪게 되고 모든 것을 부정하게 된다.
- 청소년기 후기에는 정체성의 위기를 누구나 겪게 되며 이 시기를 잘 이겨내야 올바른 정체성을 갖게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정체성 혼란이나 역할 혼동, 정신 질환, 성 정체성 문제가 발생한다.

▨6단계: 친밀감과 자아도취, 고립감
- 21세~40세
- 친밀감이 형성되는 시기로 일과 사랑이 인생의 주된 목표가 된다.
- 사람과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자신에게만 몰두하게 되면 고립감이나 우울감에 빠지는 시기이다.

▨7단계: 생산성과 침체성
- 40세~65세
- 중년기로서 다음 세대들을 위해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는 시기이며 인생의 황금기다.

▨8단계: 통합성과 절망감
- 65세~
- 인생을 정리하고 돌아보며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기이다. 자기 삶을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인생을 만족하는 시기이다. 그동안 갈등을 극복하지 못했거나 통합성을 획득하지 못하면 희망을 잃고 죽음을 두려워하며 절망감을 느끼게 된다.

반응형

'이것저것, >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슬로우 욕구 5단계  (0) 2023.01.12
생애주기별 발달 특성_프로이트  (0) 2023.01.12
생애주기별 발달 특성_피아제  (1) 2023.01.12
아동복지학  (0) 2023.01.11
사회복지  (0) 202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