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주기별 발달 특성_프로이트
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사회복지

생애주기별 발달 특성_프로이트

반응형

프로이트의 심리적 특성은 성의 개념에서 해석하여 생애 발달기에 대해 발달단계에서 리비도의 영향으로 구분된다.
프로이트의 발달단계 이론은 욕구에 몰입하여 어린 시기 형성된 성격이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부정의 관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간에 대해 고찰을 하게 해준다.

구강기(0~1.5세): 구강 빨기, 최초 양가감정
- 리비도: 구강
- 입을 통해 빨고 먹는 것에 욕구 충족, 아이는 구강에 닿는 것에 수동적 쾌감을 갖게 되며 이후 이가 생기면서 음식을 먹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옮겨간다.
- 단계마다 아이가 추구하는 것에 만족해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고 한다. 만족을 얻지 못하면 불만을 갖게 되고, 리비도에 집중하면 다음 발달 단계로 이행이 쉽지 않다. 이처럼 고착 현상이 나타나면 단계마다 성격 특성을 형성하게 된다.
(예: 손가락 빨기)

항문기(1.5세~3세): 배변 훈련(부모의 통제 갈등), 자율성 결여
- 리비도: 항문
- 배설물을 갖거나 배출에 있어 쾌감을 얻는 시기이다.
- 대소변을 가리기 시작하며 이때 본능적 충동을 외부로 통제받는 경험을 한다.
- 부모로부터 엄격하게 훈련받게 되면 성인이 된 뒤에 고착 현상이 나타나며 이는 깨끗한 것만 찾게 되는 결벽성이 나타난다고 한다.

남근기(3~6세): 오이디푸스(거세불안), 엘렉트라(남근선망)
- 리비도: 성기
- 남아의 오이디푸스: 엄마에게 애착을 갖게 되며 아빠를 엄마의 애정 경쟁자로 여겨 적대심을 갖게 된다. 아이는 경쟁자인 아빠가 자기를 해칠 것으로 생각하게 되고 이는 공포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원인으로 고착이 되면 남근기적 성격이 형성되어 과시적이거나 공격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 여아의 엘렉트라: 아빠에게 애착을 갖게 되며 엄마를 아빠의 애정 경쟁자로 여겨 적대심을 갖게 된다.

잠복기(6~12세): 자아 성숙, 초자아 확립기
- 앞서 가졌던 욕구를 모두 잊게 되는 시기이다. 여러 충동이 잠재되어 조용한 시기를 보내게 된다. 이 시기에는 최초의 사회생활로 학교에 입학하게 되는데 심리학적으로 평온한 상태이지만 인지적으로 보면 주위 환경에 대해 탐색적이며 활발하게 활동하게 된다고 한다. 이 시기에는 운동 또는 지적 활동과 같은 다양한 행동에 에너지를 집중하게 된다.

생식기(12세~): 성 에너지(이성), 심리적 독립, 자기 정체성 확립
- 이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시기다.
- 순조롭게 발달단계를 거친 사람은 타인에 대해 협동하는 자세를 갖는다. 하지만 제대로 된 단계를 거치지 못한 사람은 이 시기 에너지를 원만하게 사용하지 못하며 반항과 비행, 부적응이 나타난다.
- 청년기 이후에는 개별적으로 발달을 거치며 부모에게서 벗어나 스스로 자신을 확립하는 시기이다. 하지만 의존도가 높은 사람은 독립이 쉽지 않으며 이를 통한 고통을 수반하게 된다.


*원초아
- 성격의 충동적인 것들
- 생물학적 욕구와 관련된 본능적 욕구
- 성격을 이루는 것으로 일반적인 무의식이 내재되어 있다.
- 욕구 충족이 어려워지면 무의식으로 쌓이게 된다.
- 기본 욕구는 삶과 죽음에 대한 것이다.

* 자아
- 성격이 가진 직접적인 것들
-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한 출구로 발전하며 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자아라고 한다.
- 원초아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
- 개인이 현실에 맞는 생활을 하게 해준다.
- 현실적인 지배를 받게 된다.

반응형

'이것저것, >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성장 발달단계(인행사)_1  (0) 2023.01.13
매슬로우 욕구 5단계  (0) 2023.01.12
생애주기별 발달 특성_에릭슨  (0) 2023.01.12
생애주기별 발달 특성_피아제  (1) 2023.01.12
아동복지학  (0) 2023.01.11